소아에서 흔히 나타나는 급성비염은 감기 바이러스에 의한 급성 전염성 호흡기질환인 감기 중에서 감기바이러스가 코의 점막을 침범했을 때 나타나는 콧물감기를 말합니다.
 
일반적으로 비염이라면 넓은 범위의 만성비염을 말하게 되는데 만성비염에는 단순한 감염성 비염과 비후성 비염, 알레르기성 비염, 한랭성 비염 등이 있습니다.
        
        소아 코 질환
        
        
        
        
        
         | 종류 | 
            원인 및 증상 |       
        
        
         | 감염성 비염(콧물감기)  | 
            대게는 바이러스가 코 점막을 포함한 상기도에 감염되어 비염 
증상이 나타나는 것으로 감기로 인한 것이 가장 일반적입니다. 
             
 | 
        
        
         | 비후성 비염  | 
            코의 내부에는 비갑개가 있는데 보통 아래, 가운데, 위의 3개가 있으며 이중 아래 비갑개 만성적으로 커져 있는 상태를 비후성비염이라 하며 코가 막히는 증상의 가장 많은 원인 중 하나입니다. 
             
 | 
        
        
         | 알레르기성 비염 | 
            특정 항원물질에 과민반응을 보이는 환자에게 항원 물질이 노출되었때 발작적인 재채기, 맑은 콧물, 코막힘이 나타나는 질환
            
 | 
        
        
         | 한랭성 비염 | 
            추위에 의해 비염 증상이 나타나는 질환
 | 
        
        
  
         
외래에서 진찰만으로 부비동염(축농증) 환자와 비염 환자를 감별하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닙니다. 다만 목 뒤로 흘러내리는 코가래를 보면 부비동염(축농증) 가능성이 높으며 내시경으로 부비동 입구에서 흘러나오는 고름을 확인하고 추정하게 됩니다.